top of page
db Print Studio Logo
1.5_logo.png

진해인

Hayne Jin

개인전
2021 <허상의 생성과 소멸>, 프린트 베이커리,서울
단체전
2024 <2024 Taiwan International Print Biennale>, 대만국립미술관 (예정)
2024 <순간에서 영원으로> , 유진투자증권 챔피언스 라운지, 서울
2021 <Temple>, Keep-in-touch, 서울

진해인은 비누, 실크, 종이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실험적인 작업을 통해 자기 성찰적인 작업을 수행한다 . 대학과 대학원에서 판화를 전공한 진해인은 예술 작업에서의 반복성이 작가 자신에게 있어 종교적이고 수행적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그의 작업은 단순한 시각적 경험을 넘어, 작가의 내면의 불안을 다스리는 중요한 매개체로 작용한다.
Hae-in Jin engages in self-reflective work through experimental projects utilizing various media such as soap, silk, and paper. Having majored in printmaking in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 Jin perceives the repetitiveness in artistic work as having a religious and meditative role for the artist. His work serves as an important medium for managing his inner anxieties, extending beyond a mere visual experience.

Interview

Q : 이번 출품작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적어주세요. 

A :

이번 전시작은 어머니와 할머니가 어려운 상황에서 불안한 마음을 달래던 방식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작업 시리즈이다. 어머니가 나를 임신했을 때 반복적으로 접던 종이별과 할머니가 외우던 불경을 작업으로 가져와 나의 불안을 완화하는 예술 작업으로 승화하려 시도한다.

This exhibition series is inspired by the ways my mother and grandmother soothed their anxious minds during difficult times. I attempt to transform my own anxieties through art by incorporating the paper stars my mother repeatedly folded when she was pregnant with me and the Buddhist scriptures my grandmother recited.

모계 / 불안 / 수행
MATRIARCHY / ANXIETY / MEDITATION

A :

Q : 나의 작업을 대표하는 키워드 3가지를 알려주세요. 

Q : 작가님의 작업에서 판화가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A :

대학과 대학원에서 판화를 전공하며, 항상 판화의 규정이나 범위 등에 대하여 생각했다. 현대 판화는 상업적 활용성 이외에 어떤 다른 의의를 가지는 것인지 등에 대한 반복적 물음에 끝에 나는 판화의 기술ㅡ반복적인 일련의 절차를 거쳐 여러 장의 에디션을 제작하는 보수적 의미에서의 판화 기술ㅡ이 '수행적 성격'을 갖는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런 판화의 수행적 성격은, 반복적인 행위 그 자체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마치 종교의 수행과 비슷한 성격을 가진다고 생각한다. 물론 다른 일련의 예술 행위도 수행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특히 같은 이미지를 여러 장으로 찍어내는 판화의 기술, 그리고 반복과 그 차이에서 오는 변화를 인지하는 것ㅡ그것이 마치 수행과 비슷한 것이 아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곤 한다.
그래서 나는 판화 작업을 곧 정신적 수양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여러 장의 에디션을 찍고 그 사이의 과정에서의 차이가 드러나는 결과물을 비교할 때는 마치 내가 걸어온 길을 보는 것 같은 그러한 감정을 느끼기도 한다.

Majoring in printmaking during both my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ies, I constantly contemplated the definitions and scope of printmaking. Repeatedly questioning what significance modern printmaking holds beyond its commercial utility, I concluded that the technique of printmaking—understood in its conservative sense of producing multiple editions through a repetitive series of procedures—possesses a 'meditative character.' This meditative nature of printmaking begins with the repetitive act itself, which I believe is akin to religious meditation. While I think that other series of artistic activities also have a meditative character, the technique of producing multiple prints of the same image and recognizing the changes that come from repetition and difference seems particularly similar to meditation.
Thus, I often regard the process of printmaking as a form of mental discipline. When I print multiple editions and compare the resulting differences that emerge during the process, I experience a feeling akin to looking back on the path I have walked.

Q : 앞으로 시도하고자 하는 작업의 방향은 무엇인가요?

A :

개인의 이야기에서 벗어나 조금 더 다양한 주제와 매체를 탐구하고자 한다.
다양한 매체적 실험과 더불어, 빠르게 소비되는 매체로서의 예술 작품보다는 시간과 노력을 들여 감상하고 또 새로운 담론을 이끌 수 있는 작업을 시도하고 싶다.

I wish to move beyond personal narratives and explore a wider range of themes and media. Alongside various media experiments, I aim to create works that, rather than being quickly consumed, invite contemplation and can generate new discourse through the investment of time and effort.

서울시 마포구 홍익로5길 59, ​1층(서교동, 남성빌딩)

Tel: 070 8845 4099 / 공칠공 팔팔사오 사공구구

© 2020 by db Print Studio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