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db Print Studio Logo
1.5_logo.png

박성아

Park seonga

개인전
2024 《촘촘한 유회》 공간 파도, 서울
2022 《그토록 쓱싹이고 그토록 느려질 때》 유영공간, 서울
단체전
2023 《써 내려간 글》 갤러리인, 서울

박성아(b.1996)는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대화에서 비롯된 요소들을 중점으로 관계에 대해 작업을 하고 있다. 관계에 있어 침묵이 다르게 읽히는 개인적인 경험을 토대로 관계를 단단한 기반으로 만들어주는 대화의 유연하고 단단한 속성을 유화의 물질과 투과되는 판화로 표현한다.
Sung-ah Park (b.1996) focuses on relationships, emphasizing elements derived from conversations that connect people.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where silence is interpreted differently within relationships, she expresses the flexible yet solid nature of conversations that strengthen relationships through the medium of oil paint and translucent printmaking.

Interview

Q : 이번 출품작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적어주세요. 

A :

판화 작업은 천의 부드러운 특징과 실과 실 사이가 성글게 제직 되어 투명성이 더해졌기에 판화를 찍어 형태를 고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천이 가진 투과성으로 색채, 형태를 이룬 판의 화면도 투과되어 동시에 양면의 복수성이 존재하지만, 색채가 색채로서 전달될 수 있는 감각 또한 고정적이지 않다. 우리가 화면의 정면을 바라볼 때 알 수 있는 정보와 달리, 천에 찍힌 판화는 우리 몸을 움직여 다양한 시선과 각도로 이미지를 바라봐야 한다.
두드러진 색채를 보기 위해 정면에서 측면으로 돌아가는 우리의 몸짓과 볼록판화의 특징으로 잉크가 고정되지 않은 선과 형태를 따라 이미지를 담는 일 또한 시선을 가까이 두게 하는 행위가 된다.

Printmaking on fabric, with its soft characteristics and loosely woven threads that add transparency, makes it challenging to fix the form through printing. The translucency of the fabric allows the colors and forms of the print to permeate, creating a duality on both sides. However, the sensation of colors being conveyed as colors is not fixed. Unlike the information we can discern by looking at the front of a screen, prints on fabric require us to move our bodies and view the image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angles.
The act of turning our bodies from the front to the side to see prominent colors, and following the lines and forms where ink is not fix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relief printing, brings our gaze closer to the image.

대화 / 관계 / 기억
CONVERSATION / RELATIONSHIP / MEMORY

A :

Q : 나의 작업을 대표하는 키워드 3가지를 알려주세요. 

Q : 작가님의 작업에서 판화가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A :

22년에 판화라는 매체를 제대로 접한 뒤 꾸준히 하고 있는 판화 작업은 볼록 판화이다. 아직도 조각을 하는 일은 쉽지 않다. 유화 작업에서 느낄 수 있는 익숙한 부드러움은 찾기 힘든 매체이지만, 판을 조각하는 단단함이 좋았다. 색채와 텍스처에 중점을 두며 유화 작업을 하고 있던 내가 내게 있어 부족한 감각이라 치부하는 몇 가지는 판에 이미지를 구상하면서 직접적으로 드러났고, 간단히 명료해 단순함이라는 단어로 설명하기에 적합했다. 부족한 영역을 판화 작업을 함으로써 채워질 수 있겠다는 기대감으로 지금도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Since properly encountering the medium of printmaking in 2022, I have consistently worked with relief printmaking. Carving is still not easy. Although it is a medium where it is hard to find the familiar softness felt in oil painting, I appreciated the solidity of carving the plates. Focusing on color and texture in my oil painting work, several aspects that I considered my weak points became directly apparent as I conceived images on the plate. These aspects were simple and clear, making them well-suited to be described by the word "simplicity." Driven by the expectation that my printmaking work could fill these gaps, I continue to work on it today.

Q : 앞으로 시도하고자 하는 작업의 방향은 무엇인가요?

A :

판화의 잉크는 기억의 잔해로 화면에 밀착되고 투과된다. 그리고 기억의 막으로 작용하는 천은 의식을 발현하는 장치이다.
투과되는 판화를 기존 작업보다 확장해 공간에 걸고 투과의 큰 시야를 확보한 뒤, 천을 마주하는 관람자가 주체로서 기억의 막을 투과하는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시도하고 싶다.

The ink in printmaking adheres to and permeates the surface as remnants of memory. The fabric, acting as a membrane of memory, serves as a device for manifesting consciousness. By expanding the permeable prints beyond my previous works and hanging them in space to secure a larger field of view, I aim to allow viewers to experience the sensation of penetrating the membrane of memory as active participants when they face the fabric.

서울시 마포구 홍익로5길 59, ​1층(서교동, 남성빌딩)

Tel: 070 8845 4099 / 공칠공 팔팔사오 사공구구

© 2020 by db Print Studio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