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db Print Studio Logo
1.5_logo.png

윤예지

YUN Yeji

2024 <옷 뒤집기(백승환 윤예지 이인전)>, 우석 갤러리, 서울
2023 <Young&Young artist project 5th 4th>, 영은미술관, 경기
2022 <확장하는 판화> 피어 컨템포러리, 서울

윤예지는 창작의 주요 재료인 디지털 사진을 인쇄물/판화로 전환하고, 인쇄한 사진들을 하나의 합성 이미지로 재구성한다. 이때 사진을 조작하는 방법으로 아날로그적인 '프린트 콜라주(print collage)'를 전략으로서 활용한다. 픽셀로 조직된 사진에서 손으로 조작한 인쇄물로 가는 여정 속에서, 작가는 물질화된 이미지를 생산한다.
Yeji Yoon transforms digital photographs, which are her primary creative materials, into prints/engravings and reconstructs the printed photographs into a composite image. She employs the analog method of 'print collage' as a strategy to manipulate the photographs. In the journey from pixelated photos to hand-manipulated prints, she produces materialized images.

Interview

Q : 이번 출품작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적어주세요. 

A :

<depth of field>(2024)는 '망원경 내부를 찍은 사진 이미지들'을 소재로 한다. 주변 공간이나 출처를 확인하기 어려운 확대 이미지들을 판화로 찍고, 복수의 풍경 조각들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조직한다. 강한 압력으로 찍어낸 사진 동판화는 여백에 해당하는 어둠을 더 짙게 만들고, 검정 벽면과 이미지 외곽의 어둠은 서로의 경계를 불분명하게 한다. 어둠이 스며든 풍경은 밝게 드러난 구멍들에 의해 '어렴풋하고 왜곡된 풍경'으로 제시된다.

<Depth of Field> (2024) uses 'photographic images taken inside a telescope' as its subject matter. Enlarged images, whose surrounding space or source are difficult to identify, are printed as engravings, and multiple landscape fragments are connected to form a single image. The photo etchings, produced under high pressure, intensify the darkness corresponding to the empty spaces, making the boundary between the black wall and the image's periphery indistinct. The darkness-infused landscape is presented as a 'dim and distorted scene' through the brightly illuminated holes.

디지털 사진 / 프린트 콜라주 / 조작된 지표
DIGITAL PHOTOGRAPHY / PRINT COLLAGE / MANIPULATED INDEX

A :

Q : 나의 작업을 대표하는 키워드 3가지를 알려주세요. 

Q : 작가님의 작업에서 판화가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A :

때로 찰나의 장면을 기록한 사진은 디지털 환경에서 접했던 이미지들 만큼이나 무심하게 여겨지곤 합니다. 저는 그런 사진들을 다시금 판화로 찍어내면서 뒤집힌 관계를 형성합니다. 이미지를 판에 각인하고 그 이미지를 반복해서 봄으로써 저는 사진 이미지에 더 밀착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판화 매체는 이미지에 표식을 남길 수 있는 매개체로 작동합니다.

At times, photographs capturing fleeting moments are regarded as casually as the images encountered in digital environments. By reprinting these photographs as engravings, I create an inverted relationship. By etching the images onto plates and repeatedly viewing them, I become more closely connected to the photographic images. In this process, the medium of printmaking functions as a conduit to leave a mark on the images.

Q : 앞으로 시도하고자 하는 작업의 방향은 무엇인가요?

A :

최근 판화 매체를 통해 실재하지 않는 대상을 물질화하는데에 관심을 두며, ‘가상의 이미지’를 작업에 직접적으로 활용하려 합니다. 그리고 제작 방법과 관련하여 왁스나 석탄가루와 같이 자연적인 흔적이 남는 재료들을 사용하여 그 물질성을 강조하려 합니다.

Recently, I have been interested in materializing non-existent subjects through the medium of printmaking and intend to directly utilize 'virtual images' in my work. In terms of production methods, I plan to emphasize the materiality by using natural trace materials such as wax and coal dust.

서울시 마포구 홍익로5길 59, ​1층(서교동, 남성빌딩)

Tel: 070 8845 4099 / 공칠공 팔팔사오 사공구구

© 2020 by db Print Studio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